맨위로가기

서초구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초구 갑은 1988년 강남구에서 분리된 서초구에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여, 이후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박찬종, 최병렬, 박원홍, 이혜훈, 김회선, 윤희숙, 조은희 등이 있다. 13대부터 22대까지의 선거 결과를 통해 이 지역의 정치적 지형을 확인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정치 - 서초구청장
    서초구청장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의 구청장을 역임한 인물들을 의미하며, 1990년 초대 구청장 이충우가 취임한 이후 관선 구청장 시대를 거쳐 1995년부터 민선 구청장이 선출되었다.
  • 서울 서초구의 정치 - 서초구청장 선거
    서초구청장 선거는 서울특별시 서초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로, 1995년 이후 8번 치러졌으며 보수 성향 후보가 강세였지만 최근 진보 성향 후보의 득표율이 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서초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이름서초구 갑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88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강남구
의원조은희
정당국민의힘
의원수1인

2. 역사

1988년 1월, 강남구의 일부 지역들이 서초구로 분리되었다. 이에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초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이 서초구 갑으로 묶였으며, 나머지 지역인 서초1동, 서초2동, 방배2동, 방배3동, 도곡동, 양재동, 내곡동은 서초구 을이 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방배1동의 일부가 방배4동으로 분리되었다.

3. 관할 구역

wikitext

대수관할 구역
13대서초구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
14대 ~ 현재서초구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3. 1. 13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서초구 갑의 관할 구역은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이었다.

3. 2. 14대 ~ 현재

wikitable

대수관할 구역
13대서초구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방배본동, 방배1동
14대 ~ 현재서초구 잠원동, 반포본동, 반포1동, 반포2동, 반포3동, 반포4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4.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선거정당의원
1988년무소속박찬종
1992년신정치개혁당
1996년신한국당최병렬
1998년한나라당박원홍
2000년한나라당
2004년한나라당이혜훈
2008년한나라당
2012년새누리당김회선
2016년새누리당이혜훈
2020년미래통합당윤희숙
2022년국민의힘조은희
2024년국민의힘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선거정당의원
1988년style="background-color: " |무소속박찬종
1992년style="background-color: " |신정치개혁당
1996년style="background-color: " |신한국당최병렬
1998년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박원홍
2000년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2004년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이혜훈
2008년style="background-color: " |한나라당
2012년style="background-color: " |새누리당김회선
2016년style="background-color: " |새누리당이혜훈
2020년style="background-color: " |미래통합당윤희숙
2022년style="background-color: " |국민의힘조은희
2024년style="background-color: " |국민의힘


5. 역대 선거 결과

5. 1. 주요 선거 결과

5. 1. 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의 유권자는 128,742명이었다. 무소속 박찬종 후보가 30.46%의 득표율(27,584표)로 당선되었다. 민주정의당 이종률 후보는 25.12%(22,743표), 통일민주당 김형래 후보는 19.68%(17,820표), 평화민주당 장현 후보는 12.56%(11,372표), 신민주공화당 이하우 후보는 11.22%(10,165표), 한겨레민주당 이석원 후보는 0.55%(506표), 무소속 임길수 후보는 0.37%(342표)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0,532표였다.

5. 1.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 총 135,537명의 유권자 중 96,083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후보가 37,172표(38.68%)를 얻어 재선에 성공하였다. 민주자유당 이종률 후보는 29,653표(30.86%), 통일국민당 이충우 후보는 16,574표(17.24%), 민주당 김호산 후보는 12,684표(13.20%)를 얻었다.

5. 1. 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결과
최병렬 (신한국당) 48.56% 득표로 당선.
새정치국민회의 조소현 후보 26.48% 득표
자유민주연합 김창호 후보 12.10% 득표
통합민주당 곽일훈 후보 10.47% 득표
무소속 배종달 후보 0.86% 득표
무소속 도승희 후보 0.70% 득표
무소속 차만영 후보 0.44% 득표
무당파국민연합 곽일 후보 0.35% 득표


5. 1. 4. 1998년 재보궐선거

wikitext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박원홍 후보가 당선되었다. 총 유권자 수는 141,705명이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원홍한나라당23,44644.6%
박준병자유민주연합19,09336.2%
이종률무소속5,28110.0%
박찬종국민신당4,6008.7%
배종달무소속3770.7%
합계52,797100%


5. 1. 5.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wikitext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박원홍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원홍한나라당44,45055.34%
배선영새천년민주당28,74735.79%
신은숙자유민주연합3,8634.80%
최숙영청년진보당2,4393.03%
이강욱희망의한국신당8221.02%
합계80,321


5. 1. 6.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 한나라당 이혜훈 후보가 56.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열린우리당 함종길 후보는 29.52%, 무소속 배선영 후보는 13.31%, 자유민주연합 김우수 후보는 0.74%를 득표했다.

5. 1. 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 이혜훈 후보가 75.01%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했다. 통합민주당 박찬선 후보는 22.80%를 득표했고, 평화통일가정당 조병석 후보는 1.35%, 국민실향안보당 양한별 후보는 0.82%를 득표했다.

5. 1. 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김회선 후보가 57,335표(59.10%)를 얻어 당선되었다. 민주통합당 이혁진 후보는 32,104표(33.09%), 국민생각 박세일 후보는 7,101표(7.32%), 국민행복당2011 양한별 후보는 467표(0.48%)를 얻었다.

5. 1. 9.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이혜훈 후보가 57.0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정근 후보는 28.48%, 국민의당 이한준 후보는 14.49%를 득표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새누리당이혜훈54,11757.02%
더불어민주당이정근27,03128.48%
국민의당이한준13,75814.49%
총합94,906


5. 1. 1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미래통합당 윤희숙 후보가 72,896표(62.60%)를 얻어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정근 후보는 42,971표(36.90%)를 얻어 낙선했고, 국가혁명배당금당 신방호 후보는 575표(0.49%)를 얻었다. 윤희숙 의원은 경제 전문가로서, 보수적인 경제 정책을 주장하며 주목받았다. 그러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사퇴하면서 더불어민주당에게는 좋은 공격 소재를 제공했다.

5. 1. 11. 2022년 재보궐선거

202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서울특별시 서초구 갑 선거구에서는 국민의힘 조은희 후보가 72.7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은희 의원은 서초구청장 출신으로, 지역 기반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 이정근 후보는 24.48%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김소연 후보는 2.09%를 득표하였다.

5. 1. 12.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힘 조은희 후보가 74,813표(68.44%)를 얻어, 34,488표(31.55%)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김한나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조은희 후보는 서초구 갑 지역구에서 국민의힘의 굳건한 지지세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투표자 수는 총 109,301명이었으며, 무효표는 1,305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